popup zone

학수번호 주개설학기 교과명국문명 교과목영문명 교과목국문해설내용
NOR6001 2학기 북한학연구 Study of North Koreanology 북한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앞서 선행해야할 연구현황과 방법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데 강좌의 주안점을 둔다.
NOR6002 2학기 북한정치체제론 Study of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북한 정치체제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NOR6003 1학기 북한경제사연구 Study of North Korean Economy History 북한 경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서 북한 경제의 형성조건, 전개과정,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면서 북한 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NOR6004 2학기 북한외교정책론 North Korean Diplomatic Policies  
NOR6005 2학기 남북한통일정책비교 Unification Policies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의 통일정책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남북한 원전을 통해 파악함
NOR6006 1학기 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NOR6007 2학기 북한원전강독(1) Readings on Original Document of North Korea(1) 북한생산문헌의 사료적 가치 분석과 활용방안 연구에 대한 강의.
NOR6008 2학기 북한원전강독(2) Readings on Original Documents of North Korea (2)  
NOR6009 2학기 조선로동당특강 Topics in Korea Worker's Party 사회주의 국가에서 집권정당인 공산당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북한의 공산당인 노동당의 형성, 발전, 특징(개념,조직원리, 위상과 역할 등)과 그 함의를 고찰한다.
NOR6010 1학기 김정일연구 Study of Kim Jung-il 현 북한체제인‘수령제 사회주의’의 실질적인 설계사는 김정일이다. 이와 함께 냉전종식과 자연재해로 인한 북한의 체제위기를 핵개발과 선군정치를 통해 극복한 것도 김정일이다. 1967년 갑산파 숙청이후 북한 지도층의 핵심으로 등장한 김정일이 후계자를 거쳐 실제 통치를 했던 기간 중 그가 취했던 사상, 정치, 경제정책과 대남, 대미 정책의 본질을 파악함.
NOR6011 2학기 사회주의론연구 Study of Socialist Theory  
NOR6012 2학기 북한통치이데올로기연구 Study of North Korean Rule Ideology  
NOR6013 1학기 북한체제변화론 Change Theory of North Korean System 사회주의체제변화의 기초적인 개념과 연구영역을 이해하고,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체제변화(전환)와 관련한 역사와 이론을 다룬 주요 연구 성과들을 독해함으로써 북한의 체제변화의 좌표와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비교준거와 해석 도구를 습득한다. 아울러 사회주의의 차원을 넘어 독재에서 민주화로 이행해 간 남미와 아시아 국가들의 경험들을 검토해 북한 체제의 변화를 보다 폭넓은 시야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한다.
NOR6014 1학기 북한군사연구 Study of North Korean Military Affairs 본 강의는 특정주제에 따른 강의와 발표를 통해 북한 연구일만 특히, 군사분야에 대한 연구능력을 갖도록 하는데 기본을 두고 진행함.
NOR6015 1학기 북한행정체제연구 Study of Administration System in North Korea  
NOR6016 2학기 북한법체계연구 Study of System of Law in North Korea  
NOR6017 1학기 사회주의정치경제학연구 Studies on Socialist Political Economy  
NOR6018 1학기 북한사회연구 Study of North Korean Society  
NOR6019 1학기 북한문화예술세미나 Seminar in North Korean Culture and Arts  
NOR6020 2학기 비교사회주의체제론 Theory of Comparative Socialist System  
NOR6021 2학기 사회주의사상연구(1) Study of Socialist Thoughts(1)  
NOR6022 2학기 사회주의사상연구(2) Study of Socialist Thoughts(2)  
NOR6023 1학기 북한의대외관계연구 Study of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NOR6024 2학기 북한의대남정책연구 Studies on North Korean Policies towards South Korea  
NOR6025 2학기 북한의비동맹외교론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owards Non-Allied Nations  
NOR6026 2학기 동북아외교환경연구 Study of Diplomatic Environment of Northeastern Asia 동북아 지역의 외교환경 변화에 따른 역내 국가들의 외교정책 변화 분석
NOR6027 2학기 북한경제개방론 Theory of Opening North Korean Economic Market 본 강의에서는 북한의 경제제도와 형태, 체제의 원형이 어떻게 정립되었는지 탐구한다. 그리고 이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형되어 왔는지 연구한다. 이를 위해 북한관련 자료를 수집·정리하고 북한 경제체제의 구조와 북한경제의 동향을 분석한다. 북한 내외부적 조건의 변화에 대한 경제구조의 응전을 분석하여 북한경제를 전망한다.
NOR6028 1학기 동북아질서연구 Studies on Northeast Asia's Regional Order  
NOR6029 1학기 남북한관계연구 Study of North-south Korea Relations 남북한관계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 분단-전쟁-대결-경쟁-협력의 대표사례를 학습한다.
NOR6030 2학기 동북아경제론 Study of Northeastern Asian Economy  
NOR6031 2학기 남북한비교문화론 Comparative Cultural Theory of North and South Korea  
NOR6032 2학기 한반도안보론 Theory of National Security in Korea Peninsular  
NOR6033 2학기 남북대화사례연구 Study of South-North Korea Conversation Case  
NOR6034 2학기 남북한경제통합론 Economical Integration Theory of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남북한 경제교류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남북한 경제교류협력의 현황, 발전방향 및 남북경제통합의 과정·방안 등을 검토
NOR6035 2학기 남북한사회문화통합론 Social Cultural Integrative Theory of South and North Korea  
NOR6036 2학기 분단국통일사례연구 Study of Unification of Divided Nations Case 베트남, 독일, 예멘 등 분단국가들의 분단과 통합과정을 사례별로 분석해보고 분단국 통일사례 연구를 통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을 파악함
NOR6037 1학기 국제통합이론연구 Study of International Integration Theories  
NOR6038 2학기 북한이탈주민연구 Studies on Displaced North Korean People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겪게 되는 재사회화 과정의 여러 현상들과 문제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함으로써, 향후 통일 과정에서 남북한 주민들이 상호이해에 기초하여 순조로운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NOR6039 2학기 분단과탈분단사회동학연구세미나 Seminar on the Social Dynamics of the Division System and Overcoming the Division System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기초하여 분단과 탈분단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고, 분단과 탈분단 현상을 사회동학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함
NOR7001 1학기 북한사연구 Studies on the History of North Korea - 북한체제 성립 및 전개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함.
- 북한사 전반에 대한 학습
- 북한학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인 주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
NOR7002 2학기 북한정치경제학연구 Study of North Korean Political Economics - 근대의 두 가지 현상, 즉 주류 자본주의체제와 그 비판과 대안으로서의 사회주의체제의 상관관계를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의 역사·범주·체계를 통해 이해하고,
- 북한 정치경제학의 이론체계와 경제원리 및 법칙을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본 강의의 핵심내용임.
NOR7003 2학기 주체사상세미나 Advanced Seminars on Juche Ideology  
NOR7004 2학기 북한의대외정책 Foreign Policies of North Korea 북한의 외교정책 및 북한의 수세적 적응외교의 본질이해
NOR7005 2학기 통일환경론세미나 Seminars on the Geopolitical Environments for Korean Unification  
NOR7006 2학기 남북한통일정책연구 Studies on Unification Policies of the two Koreas  
NOR8001 2학기 남북한공공정책비교론 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Poli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NOR8002 2학기 비동맹외교론 Theory of Nonaligned Diplomacy  
NOR8003 2학기 북한원전세미나(1) Seminars on the Original Documents of North Korea(1)  
NOR8004 1학기 북한원전세미나(2) Seminars on the Original Documents of North Korea(2)  
NOR8005 1학기 한국공산주의운동연구 Study of Korean Communism Movements  
NOR8006 1학기 북한경제관리론 Theory of North Korean Economic Administration 사회주의 경제관리체계의 일반적 특징과 북한의 주체적 경제관리이론을 살펴보고, 북한경제개발정책의 분야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분석
NOR8007 2학기 북한산업구조연구 Study of North Korean Industry Structure  
NOR8008 2학기 북한연구방법론세미나 Seminars on Methods and Scopes of North Korean Studies 북한을 과학적·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사회주의체제에 관한 기존 연구방법을 비판적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함
NOR8009 2학기 북한국가성격연구 Studies on North Korean State  
NOR8010 2학기 김일성연구 Studies on Kim Il Sung  
NOR8011 1학기 북한통치엘리트연구 Advanced Studies on Ruling Elite of North Korea 본 과목에서는 북한 최고지도자(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리더십과 자질, 정책적 성향 및 파워 엘리트 변동의 원인 등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주요 연구서들과 북한 원전 자료들을 같이 강독하고 다큐멘터리도 시청할 것이다. 1주에서 7주까지는 주로 교수의 강의로 수업을 진행하고, 8주부터는 학생들의 PPT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할 것이다.
NOR8012 2학기 북한체제개혁론세미나 Advanced Seminars on North Korea's Systemic Reform 북한은 다른 사회주의국가들, 특히 대외경제관계가 깊은 중국과 달리 개혁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을 도모하지 않고 있는 사회주의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북한 경제를 전통적인 사회주의경제로 규정할 수도 없다. 북한체제개혁론세미나에서는 북한 경제의 현 시기 특성, 지난 시기 북한 지도부의 경제개혁 시도, 향후 경제개혁 가능성 등을 분석한다.
NOR8013 1학기 사회주의정치경제세미나 Advanced Seminars on Socialist Political Economy  
NOR8014 2학기 비교사회주의론 Comparative Socialist Idealogies  
NOR8015 1학기 북한의대미정책 North Korean Policies towards United States  
NOR8016 2학기 북한의대일정책 North Korean Policies towards Japan  
NOR8017 2학기 북한의대중정책 North Korean Policies towards China  
NOR8018 2학기 제3세계와북한 North Korea and the Third World  
NOR8019 1학기 국제정치경제의변화와북한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North Korea  
NOR8020 1학기 동북아국제정치경제의변화와북한 Changes on Northeast Asia's Political Economy and North Korea 한반도를 둘러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 각국의 지역전략을 분석하고 역내 이슈 및 쟁점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함
NOR8021 1학기 북한대외관계사 Studies on History of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NOR8022 2학기 북한의협상행태연구 Studies on Negotiation Behaviors of North Korea  
NOR8023 2학기 북한의대외경제관계연구 Studies on Foreign Economic Relations of North Korea  
NOR8024 2학기 통일한국의미래상연구 Studies on the Features of Unified Korea 한반도 냉전체제 해체 및 동북아 평화체제 형성의 가능성을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 협력의 가능성을 분석함
NOR8025 1학기 대남통일정책세미나 Advanced Seminars on Unification Policies of North Korea 북한정권의 존재의의는 혁명역량 강화를 통한 남조선해방과 한반도 공산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강의에서는 북한의 대남정책과 통일정책을 시대별로 나누어 지속과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NOR8026 2학기 한반도평화체제연구 Studies on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r 장기분쟁지역의 평화적 전환에 관한 이론과 비교연구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에 관한 분석틀을 수립하고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NOR8027 1학기 국제통합이론연구 Study of International Integration Theories  
NOR8028 2학기 국가통합사례연구 National Integration Case Study  
NOR8029 2학기 동북아평화체제연구 Studies on Collective Security System in the Northeast Asia 1. 한반도문제(기원, 북한핵, 평화체제, 통일론)의 이해 및 해결방안 연구
2. 동북아 군비경쟁(핵, 우주, 사이버 중심) 실태 이해 및 해결방안 연구
3. 유럽 평화체제의 경험과 동북아평화체제 적용 연구
NOR8030 2학기 남북한경제통합연구 Studies on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본 강의는 남북한 부문별 경제제도 운영에 대한 비교, 경제통합 시 문제점에 대한 고찰과 동서독 통일에서의 경제통합의 문제점과 시사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경제통합 방안과 현재 운영중에 있는 경제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데 있음.
NOR8031 1학기 한국통일운동사 Histories of Korean Unification Movements  
NOR8032 2학기 남북대화및협상연구 Studies on Negotiation and Dialogues between the two Koreas 본 강의는 역사적 사례 고찰을 통해 남북대화 및 협상의 배경, 전개과정, 협상 행태, 협상 결과 등 남북대화 전반에 대한 이해와 분석력을 높이는데 있다.
NOR8033 2학기 남북한비교사회론 Comparative Studies on South-North Korean Societies  
NOR8034 2학기 북한어문학연구 Studies on Language and Literature of North Korea 남북한 간의 우리말 이질화 현상을 비교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언어통일과 표준화 방안을 모색함
NOR8035 2학기 북한예술론 Studies on Arts of North Korea  
NOR8036 1학기 북한의인권및여성 Studies on Human Rights and Women in North Korea 북한인권문제는 한국, 미국, 일본 등 개별 국가들 뿐만 아니라 유엔과 같은 국제 기구가 함께 우려하는 국제적인 문제이다. 본 강의의 목적은 이러한 북한인권문제의 발생배경과 핵심적인 논의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그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NOR8037 2학기 북한문예이론연구 Theoretical Studies on North Korea's Arts and Literature  
NOR8038 1학기 탈북자체제적응세미나 Advanced Seminars on System Ado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s 본 강좌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에서의 삶에 대해 배우고,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함께 논의함
NOR8039 1학기 북한사회변동론 Studies on Dynamic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사회주의·공산주의 혁명과 건설과정에 나타난 북한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북한체제의 변화 동학을 파악함
NOR8040 2학기 북한정치문화론 Studies on North Korea's Political Culture 북한 정치의 밑바탕이 되는 정치문화에 대한 정치문화론 일반,사회주의 국가의 정치문화,북한의 정치문화 등을 학습한다.
NOR8041 1학기 북한언론연구 Studies on North Korea's Speech and Writing  
NOR8042 2학기 남북한비교문화론 Comparative Cultural Theory of North and South Korea  
NOR8043 1학기 북한정치경제학연구 Study of North Korean Political Economics  
NOR8044 2학기 남북한교류법제연구 Studies of Law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th-Nth Kor  
NOR8045 2학기 분단의행위자-네트워크연구세미나 Research Seminar on the Actor-Network of the Division System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Network Theory)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분단 현상이 일상에서 작동하고 재생산되는 과정을 분석함
NOR8046 1학기 북한사회변동과혼종성 Social Changes and Hybridities in North Korea 북한의 최근 사회변동의 메커니즘과 동태성, 특징을 포스트-사회주의의 틀 속에서 고찰한다. 특히 포스트-사회주의를 ‘이행론(transitology)’의 관점에서 분석한 주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을 성찰하면서 포스트-사회주의의 성격을 ‘혼종성(hybridity)’의 차원에서 재정의하고 있는 다양한 학제적 논의와 이론적 자원들을 폭넓게 살펴본다. 북한의 일상과 문화, 도시와 공간, 주민 정체성의 미시적 변화 역학을 이러한 논의들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북한체제의 변화성격을 규명하고 그 방향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